[GA4] 구글 빅쿼리(BigQuery) GA4 연동법

지난 콘텐츠에서는 GA4에 구글 빅쿼리(BigQuery)를 연동하면 어떤 점들이 좋은지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콘텐츠에서는 실제로 GA4 데이터를 빅쿼리에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생각보다 복잡하지 않으니 아래 내용을 잘 따라와주세요 🙂

STEP 1. 빅쿼리 프로젝트 만들기

빅쿼리는 구글 클라우드 서비스 중 하나로, 빅쿼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구글 클라우드 서비스 계정이 필요합니다. 구글 클라우드 서비스 계정이 없는 분들은 계정부터 생성해주셔야합니다.

자, 구글 클라우스 서비스 계정이 준비가 되셨다면 빅쿼리라는 데이터웨어하우스를 이용할 수 있는 준비가 되었습니다. 빅쿼리를 이용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해야하는 일은 빅쿼리 내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것입니다.

여기까지 빅쿼리에서 프로젝트 생성이 완료되었고, 본격적으로 GA4와 빅쿼리를 연동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STEP 2. GA4 데이터를 빅쿼리에 연동하기

이제 GA4 데이터를 빅쿼리에서 만든 프로젝트와 연동해보겠습니다. 마찬가지로 이를 위해선 GA4 계정/속성이 미리 생성되어 있어야겠죠? GA4 계정까지 준비되셨다면 바로 진행해보겠습니다.

👉 이벤트 데이터의 경우 데이터 내보내기 유형 즉, 데이터의 전송 빈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매일’을 선택하면 하루에 한번 전체 데이터를 내보내고, ‘스트리밍’을 선택하면 몇 분 이내의 당일 데이터를 내보낼 수 있게 됩니다. 다만 스트리밍의 경우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유료 결제 계정만 사용할 수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STEP 3. 정상적으로 연동되었는지 확인하기

자 여기까지 문제없이 진행이 되었다면, 이제 빅쿼리에서 GA4 데이터를 확인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빅쿼리로 이동해서 아래 사항을 체크하며 직접 확인해보세요!

▶ ‘analytics_000000000’ 라는 이름의 데이터 세트가 생겼다면 정상 연동된 것입니다.

‘000000000’ 해당 부분은 현재 연결된 GA4 속성의 ID 값이 그대로 표시됩니다. 데이터 세트는 연동 직후 바로 생기지 않을 수도 있으니 최대 1~2일 후 확인해보실 것을 권장드립니다.

▶ GA4에서 연결할 때 설정했던 데이터 내보내기 유형에 따라 다른 이름의 데이터 테이블 생성됩니다.

데이터 내보내기 유형을 ‘매일’로만 설정했다면 ⇒ GA4는 그날의 모든 이벤트를 수집한 후 일일 데이터를 내보내기 때문에 설정한 후 다음날 빅쿼리에서 events_YYYYMMDD 라는 이름의 테이블을 통해 일일 데이터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경우에 따라 데이터가 업데이트되는데 최대 72시간까지도 소요될 수 있다고 하니 참고해주세요.

데이터 내보내기 유형을 ‘스트리밍’까지 설정했다면 ⇒ 데이터 세트가 생성된 후 빅쿼리에서 몇 분 내에 event_intraday_YYYYMMDD 라는 이름의 테이블을 통해 스트리밍 데이터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GA4(구글 애널리틱스) 데이터를 빅쿼리에 연동하는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데이터의 힘을 최대한 활용하여 비즈니스를 더욱 효율적으로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이제 GA4와 빅쿼리를 연동하여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도 해도 과언이 아닐텐데요.

GA4와 빅쿼리 연동 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이점에 대해 이해는 되었지만, 여전히 직접 빅쿼리 연동하는 것이 어렵고 불안하신가요? 그렇다면 그로스핏에 문의해주세요. 빅쿼리 연동부터 연동 후 데이터 활용에 대한 부분까지 여러분의 비즈니스에 맞춰 도움을 드리겠습니다. 데이터가 제공하는 풍부한 인사이트를 통해 변화하는 환경에서 경쟁 우위를 유지하고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드시길 바랍니다.

[참고자료]

Growthfit 아바타

Posted by

댓글 남기기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