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4] 구글 애널리틱스 4: 개념과 계층 구조 알아보기

GA4 개념 계층 구조

현대 사회에서 빼놓을 수 없는 데이터 분석 도구가 무엇인지 아시나요? 바로 GA4(Google Analytics 4)입니다.

웹사이트 혹은 앱의 데이터를 분석하며 더 나은 성과를 위해 도움을 주는 도구이죠.

GA4의 활용성

그렇다면, GA4는 왜 사용해야 하는 걸까요?

GA4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기존 버전인 UA(GA3)에 비해 더 훌륭한 분석 도구가 되었습니다.

(기존 버전과의 차이점은 다음 콘텐츠에서 더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이렇게 중요한 GA4는 중요도와 별개로 잘 활용하는 사람이 매우 드뭅니다. 많은 사람들이 애널리틱스를 통해 보다 나은 성과를 얻길 바라며, 이제부터 GA4에 관련된 이야기를 차근차근 해볼까 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4: 계층 구조 알아보기

우선 GA4는 어떤 계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GA4는 [계정] – [속성] – [데이터 스트림] 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UA는 계정 – 속성 – 보기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GA4에서는 ‘보기’가 사라지고 ‘데이터 스트림’이 생겼습니다.)

[GA4 계층 구조]

계정

위 도형처럼 계정 안에 속성이 있고, 속성 안에 개별 스트림이 있는 구조인데요. 계정은 속성을 담기 위한 커다란 컨테이너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애널리틱스 계정은 한 개 이상, 최대 100개 까지 생성 가능합니다.

속성

속성은 웹사이트 혹은 앱을 의미합니다. GA4에 회사 계정을 개설했다면 회사 홈페이지, 블로그 등의 웹사이트나 회사 자체 앱을 속성으로 개설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계정에서 최대 2,000개의 속성을 만들 수 있습니다.

데이터 스트림

데이터 스트림은 웹사이트 혹은 앱의 데이터를 뜻합니다. GA4에서는 웹 데이터와 앱 데이터가 통합되어 하나의 속성 안에서 더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각 속성마다 최대 50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앱 데이터 스트림 최대 30개를 포함해 웹 데이터 및 앱 데이터 스트림의 조합)

이러한 구조에 따라 계정 수준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는 계정 하위에 있는 모든 속성에 접근이 가능합니다. 속성 수준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는 해당 속성과 속성 하위에 있는 데이터 스트림에만 접근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오늘은 GA4의 개념과 계층 구조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기본 구조에 대해 잘 이해해야만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기 때문에 꼭 집고 넘어가시길 바랍니다. 다음 콘텐츠에서는 기존 버전(UA)과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Growthfit 아바타

Posted by

댓글 남기기

%d